본문내용
교과목소개
-
- 미디어글쓰기(Writing of Mass Media)
- 논리적 사고를 통한 원고 작성요령과 미디어 기사작성을 위한 기본적 이해와 실습을 병행하여 사고력을 배양한다. 논리적 사고를 위한 기본적 이해와 논리적 글의 작성을 위한 기본적 이해, 미디어 기사 작성을 위한 기본적 이해와 실습, 주요 언론의 기사 분석을 통한 비평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을 배양한다.
-
- 영상언어의이해(Understanding of Visual Language)
- 영상언어는 문자나 발화언어와는 다른 문법을 가지고 있다. 이미지로 의사를 전달하고 정서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영상언어 특유의 문법을 이해하고 습득해야 한다. 즉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문자 중심의 사고가 아니라 보다 직감적이고 감각적인 ‘시각적 사고’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 과목에서는 그림, 사진, 영화 등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를 통해 영상언어가 작동하는 방식을 공부하고 더 나아가 각자가 간단한 영상을 제작해봄으로써 시각적 사고의 훈련과 강화를 도모한다.
-
- 커뮤니케이션론(Introduction to Communications)
-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형태의 특성을 학습한다. 이와 함께 대중 매체의 특성과 매체 발달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 등을 다양한 관련 시청각 자료들을 통해 살펴본다.
-
- 방송및영상촬영실습(Broadcasting & Visual Contents Producing Practices)
- 방송/영상 제작 과정 전반에 대한 이해와 함께 방송/영상 기자재를 활용한 프로그램 제작을 통해 방송/영상 제작의 실무적 능력을 배양한다.
-
- 설득커뮤니케이션(Persuasive Communication)
-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효과적인 설득 전략에 대해 학습한다. 설득이란 무엇인지 그 개념을 이해하고 설득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정보원, 메시지, 매체, 수용자 별 분석과 함께 효과적인 설득 사례들도 점검해본다. 이를 통해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설득 전략을 함께 모색해본다.
-
- 스피치커뮤니케이션(Speech Communication)
-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 말은 곧 개인의 능력이며, 따라서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에 있어서 가장 필수적인 요소의 하나임을 인식시키고 이론교육과 함께 반복적인 말하기 및 듣기 훈련을 통해 타인과의 의사소통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스피치 커뮤니케이션은 언어, 비언어라는 상징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고 의미를 공유하는 것, 그 과정이다. 즉 언어/비언어를 사용하고 주고받는 상호작용의 과정이고, 그리고 의미를 사로 나누는 과정이다. 이에 타인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여러 상황에 맞는 커뮤니케이션, 원활한 대인 관계를 위한 자신감 있는 말하기, 듣기를 훈련하다.
-
- 영상의역사(History of Visual Medium)
- 인류가 문자를 발명하기 훨씬 오래 전부터 이미지는 인류의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이 되어왔다. 이 과목에서는 원시인의 동굴벽화에서부터 시작되어 오늘날의 디지털 이미지에 이르는 영상의 역사를 개괄해봄으로써 영상매체가 인류의 문화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영향력에 대해 공부한다. 미래의 인류사회에서는 과연 지금과 같은 개별국가의 언어가 여전히 중요한 의사소통수단으로서 작동할 것인가 아니면 또다른 형태의 영상매체가 지배적인 의사소통수단이 될 것인가를 예측해보는 것 또한 이 과목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다.
-
- 방송및영상편집실습(Broadcasting & Visual Contents Editing Practices)
- 방송/영상 제작물의 편집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영상 편집 툴의 기능을 익히고, 방송/영상 편집 전문인으로서의 실무 능력을 함양한다.
-
- 미디어홍보전략(The strategies of public relations in media)
- 미디어를 통한 다양한 홍보 전략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통해 홍보(public relations)
-
- 미디어교육론(Media Education Theory)
- 미디어교육 전문교사 양성의 일환으로 미디어교육에 대한 제반 이론과 미디어교육의 현실적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미디어 능력(미디어의 이해, 비판, 활용, 제작)
-
- 방송및영상촬영실습심화(Broadcasting & Visual Contents Producing Practices-deepening)
- 방송/영상 촬영실습 및 방송/영상 편집실습 과정에 이어, 방송/영상 촬영 심화 과정을 통해 함께 방송/영상 기자재를 활용 및 콘텐츠 제작을 실무적 능력을 배양한다.
-
- 다큐멘터리론(Theory of Documentary)
- 다큐멘터리는 ‘사실(fact)
-
- 미디어마케팅(Media Marketing)
- 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소개한다. 마케팅 활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디어의 마케팅적 효과, 미디어에 나타난 마케팅 사례 등과 함께 미디어를 이용한 마케팅 전략 등을 함께 학습한다.
-
- 미디어교육교수법(Media education Teaching Technique)
- 초, 중등학교 현장에서 미디어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학년별․ 대상별 교육과정 구성, 교수법 설계 등 실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미디어교육 교수법을 익힌다. 미디어교육은 교수자 및 교육 대상에 따라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교수자의 능력 함양은 물론이거니와 학습자의 학력 수준, 지적발달 수준, 기본적 욕구 등 교육환경을 고려한 가운데 교수법들이 체계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교수자의 역할, 교육과정 구성, 각 단위별 교수법 설계 등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습득한다.
-
- 영상조명실습(Lighting Practices)
- 방송/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빛에 대한 감각이 필요하다. 영상조명실습을 통해 빛의 원리를 이해하고, 촬영 과정에서 조명을 다루는 과정을 습득하며, 다양한 조명 기구를 다루는 방법을 익힌다.
-
- 사진촬영실습(Photo Workshop)
- 사진은 진실을 알리는 중요한 도구이다. 기자라면 무조건 카메라를 들이댈 것이 아니라 사실을 넘어선 진신을 찍을줄 알아야 한다. 카메라와 사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실을 추구하는 보도사진의 감각을 익히고 사진실습을 통해 사진기자의 심층적 자질을 습득한다.
-
- 디지털콘텐츠제작워크숍(Digital Contents Production Workshop)
- 디지털 미디어는 기존의 아날로그 미디어와는 전혀 다른 원리에 의해 영상을 창조한다. 이러한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짧은 분량의 콘텐츠 제작을 경험해보는 수업이다. 뉴스, 예능, 뮤직비디오, 단편영화, CF, 영상시(visual poem)
-
- 표현과프리젠테이션(Expression & Presentation)
- 자신의 의견을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다. 면접, 취업, 승진, 계약체결, 청중설득 등 결정적인 순간에는 항상 프레젠테이션이 함께한다. 표현의 테크닉과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기법을 습득한다. 주어진 프로젝트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이를 효과적을 표현할 수 있는 프리젠테이션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기획, 매니지먼트,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프리젠테이션 방법을 실습해 본다.
-
- 사이버커뮤니케이션(Cyber Communication Theory)
- 정보사회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 혁신의 주인공인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은 무엇이며, 인간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에 대하여 이해한다.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에 의해 탄생된 사이버 공간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사이버 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과 문화현상, 미디어적 발전 등에 대해 살펴본다.
-
- 미디어콘텐츠스토리텔링(Media Contents Story-telling)
- 방송, 온라인미디어, 디지털미디어 등 다양한 미디어콘텐츠 영역에서 요구되는 스토리텔링의 기획과 창작기법을 이해한다. 스토리텔링의 개념 이해와 더불어, 스토리텔링의 기본원칙, 스토리 창작을 위한 테크닉을 습득하고, 다양한 미디어콘텐츠 스토리를 작성해 본다.
-
- 다큐멘터리제작워크숍(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 현대의 다큐멘터리는 픽션이나 애니메이션과의 경계를 넘나들며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의 강렬한 관심과 ‘진실’에 대한 열정이라는 다큐멘터리 본연의 문제의식은 여전히 유효하다. 이 수업에서는 이러한 다큐멘터리 본연의 문제의식을 견지하면서 기획, 구성안 작성, 촬영, 편집, 배급 및 상영 등 다큐멘터리 제작 과정 전반을 훈련한다.
-
- 영상취재보도실습(Broadcast Reporting Practices)
- 기사의 취재로부터 기사작성의 실제에 이르기까지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강의함으로써 영상 저널리즘을 위한 기자로서의 직접적 자질을 배양한다. 전통적인 취재 보도론과 아울러 영상 저널리즘의 실체를 학생들에게 이해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저널리즘의 변화의 속도는 정보과학, 정보산업의 발전 속도 이상으로 빠르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에서 현대 영상 저널리즘의 취재와 보도는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 가를 이론과 실습을 통해 연구한다.
-
- 아나운싱과리포팅(Announcing & Reporting)
- 방송에서 뉴스 및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기자 및 MC의 역할과 자질이 중요시된다. 방송의 아나운싱과 리포팅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이를 위한 실재적 필요요소 및 실무기법을 습득한다. 뉴스앵커, 아나운서, 뉴스캐스터, 리포터, MC, DJ 등과 같은 방송인의 자질 함양을 위해 아나운싱과 리포팅에 대한 체계적 훈련을 실시한다. 방송문장론에 이어 실재적인 방송언어 발음 훈련, 리포팅 등 방송 스피치를 이론과 실기를 통해 함양한다.
-
- 매스컴조사방법론(Research methods for the Mass Communications)
- 미디어를 포함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중심으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조사 과정에 대해 학습한다.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설문 작성 및 설문 조사 실습을 통해 체계적인 사회 조사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회조사원으로서 실습 기회를 갖는다.
-
- 미디어법과윤리(Media Ethics & Law)
- 정보화 사회에서 매스 미디어와 뉴미디어 등을 통한 저널리즘과 관련해서 일어나는 윤리 및 법에 관한 문제들을 다룬다. 민주주의국가의 헌법은 국민의 기본권인 언론자유와 인격권을 동시에 보호권을 갖고 있고 있다. 이 두 가지 기본권들이 충동할 때 조정을 해야 하는데, 바로 이것이 미디어 윤리 법제다. 이에 언론의 자유, 선거와 보도, 명예훼손, 프라이버시 침해, 음란, 언론과 공정한 재판, 저작권, 광고 등 언론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를 학습한다.
-
- 영상제작워크숍(Visual Contents Production Workshop)
- 장르의 구애 없이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되, 졸업작품 수준의 완성도와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선택한 장르에 따라 팀 구성은 1명에서부터 10명까지 다양하게 조직 된다.
-
- 미디어산업과대중문화(Media Industry & Mass Culture)
- 미디어는 그 자체로서 하나의 산업을 형성한다. 미디어산업의 특성과 유형을 알아본다. 아울러 미디어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대중문화의 생성 및 전파의 특성을 규명하고 현대사회와 대중문화의 관계, 대중문화에 대한 긍정과 비판의 제 이론을 고찰함으로써 미디어산업과 대중문화의 역할을 알라본다.
-
- 캠페인이론과실제(The theories and practice of the campaigns)
- 미디어를 통해 다양하게 전개되어 온 캠페인을 중심으로 소셜 마케팅의 개념과 활용 사례 등을 점검한다. 다양한 소셜 마케팅 주제들을 살펴보고, 실생활에서 활용되고 있는 소셜 마케팅 사례들을 찾아 그 효과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소셜 마케팅 전략도 함께 모색해 본다.
-
- 미디어콘텐츠기획과제작(Media Contents Planning & Producing)
- 학과에서 운영된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 제작 실습에 대한 최종적 점검과정. 신문, 방송, 영상, 인터넷 등 자신의 희망분야를 선택하여 해당 미디어콘텐츠를 직접 제작해 봄으로써 기획에서부터 제작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실무능력을 총체적으로 점검해 본다. 기사취재, 신문제작, 방송영상제작, 멀티미디어 제작 등 각종 미디어 콘텐츠를 자신이 직접 제작해 본다.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분야를 선택하여 해당 미디어 콘테츠의 기획에서부터 구성, 자료수집, 제작 등의 과정을 실질적으로 진행해 본다. 완성된 작품을 졸업작품으로 발표한다.
-
- 디지털시대의영상문화(Visual Culture of Digital Age)
- 디지털 미디어의 도래 이후 영상문화 전반에는 근본적인 변혁이 일어난다. 방송이나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 기존의 영상양식 뿐만 아니라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을 이용한 새로운 영상분야가 등장하기도 했다. 본 수업은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영상문화의 변모양상을 강의실 안에서의 이론적 수업을 넘어 직접 현장체험을 해보게 함으로써 이미 우리 곁에 와 있는 디지털 영상의 실체를 체험하고, 더 나아가 미래의 영상문화를 선도적으로 이끌어갈 인재를 양성하는 데 일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디자인되었다.
디자인구성요소